본문 바로가기
주식종목분석 및 IPO정보, 금융정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가 인하…내수 부양 위한 연속 금리 조정

by 주식종목분석, IPO정보, 아파트 분양정보 중심으로 운영 2024. 11. 28.
반응형

한은, 기준금리 3.00%로 인하…3년 2개월 만의 완화 정책 전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1월 28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3.25%에서 3.00%로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지난달 금리를 3.50%에서 3.25%로 내린 데 이어 한 달 만에 추가 인하를 단행한 것입니다. 한국은행이 두 달 연속으로 금리를 내린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입니다.

한국은행 금리인하 결정

▼ ▼ ▼ ▼ ▼ ▼

금리인하 관련 기사를 모아봤습니다. 금리인하관련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 아래버튼을 클릭하세요!

 

 


금리 인하 배경: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한국은행은 국내 경제 성장세가 예상보다 더 부진하다고 판단해 금리 인하를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0.1%에 그치며 한은의 기존 전망치(0.5%)를 크게 밑돌았고, 수출마저 0.4% 감소해 충격을 더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소식으로 인한 대외 불확실성도 금리 조정의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 정책과 강달러 기조가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리 인하 배경에 대해 “내수 부양을 통해 경제 하강 속도를 완화하고자 했다”고 밝히며, 금리 인하로 민간 소비와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금리 인하의 주요 이슈와 우려

1. 내수 활성화와 가계부채 문제

금리 인하는 내수 활성화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동시에 가계부채 증가와 부동산 시장 과열 가능성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올해 3분기 동안 크게 증가했던 가계부채가 이번 금리 인하로 인해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2. 환율 변동성과 외국인 자본 유출 우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유지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기준금리(4.50~4.75%)와의 격차가 1.75%p로 벌어지면서, 외국인 자본 유출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원화 가치 하락과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시장 기대와 다른 정책 결정

이번 금리 인하는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과는 상반된 결정이었습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이달 초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채권 전문가 83%가 금리 동결을 예상한 바 있습니다.


향후 전망: 금리 정책의 방향과 경제 성장률

한국은행은 이번 회의에서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2.2%와 1.9%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한국 경제가 경기 둔화 국면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성장률 하락의 주요 요인

  • 수출 둔화: 반도체 수요 감소 및 주요 교역국 경제 둔화.
  • 내수 부진: 민간 소비와 투자가 예상보다 더디게 회복 중.
  • 대외 불확실성: 트럼프 재선과 글로벌 금리 차 확대.

경제성장률추이
출처 : 연합뉴스기사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내년에도 금리 인하를 지속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특히, 성장률이 1%대 초반까지 떨어질 경우 금리를 더 낮출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금리 인하 시나리오와 대책 필요

1. 내수 경제 활성화 방안

정부와 한국은행은 금리 인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내수 부양책을 추가로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를 지원하기 위한 금융 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2. 외환시장 안정화 조치

환율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환시장 개입이나 금리 정책과의 조화를 통한 안정화 전략이 요구됩니다.

3. 부동산 시장 모니터링

부동산 시장 과열 가능성에 대비해 세제 및 대출 규제를 적절히 활용할 필요성이 강조됩니다.


금리 인하,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이번 금리 인하는 한국 경제에 분명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의 긍정적인 효과와 부작용이 혼재된 상황에서 정부와 한국은행의 정책 조화가 중요합니다.

 

반응형